MySQL Community Server 8.0.15 설치



MySQL은 두 가지 버전으로 나뉩니다.


1. Enterprise 버전

2. Community 버전


엔터 프라이즈 버전은 라이선스가 필요합니다.


저는 커뮤니티 버전을 설치 해 봤습니다.


MySQL Download



https://mysql.com/ 에서 다운 가능합니다.


1. 상단 DOWNLOADS 탭 클릭 후 MySQL Downloads를 클릭합니다.



2. Community 탭 클릭 후 MySQL Community Server 하단 DOWNLOAD를 클릭 합니다. 



3. 아카이브 버전 또는 MSI 버전 선택이 가능합니다.


저는 MSI 버전을 선택했습니다.



4. Download버튼을 클릭합니다.


32비트 버전이지만 64비트도 사용 가능하다고 써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No Thanks ... 를 선택하면 


바로 다운이 가능합니다.






MySQL Install


1. 라이선스 동의하고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


2. 설치 타입을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저는 개발자 디폴트 옵션을 선택했습니다.



3. Connector와 MySQL for VisualStudio 설치를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저는 선택하지 않고 넘어갔습니다.



4. 설치할 목록을 보여주는 화면입니다.


확인 후 Excute버튼을 클릭합니다.



모두 Complete상태가 되면 완료됩니다.



5.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6. Group Replication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기본 옵션으로 넘어갔습니다.



7. 포트를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기본 3306포트이지만, 바꿔서 사용하시길 권장합니다.



8. 패스워드 암호화에 관한 내용입니다.


기본 옵션으로 넘어갔습니다.



9. root 패스워드와 계정을 추가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


저는 root 패스워드만 지정하고 넘어갔습니다.



10. Window Service 이름을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입력 후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



11. 설정 적용화면입니다.


Excute버튼을 누르면 적용됩니다.




12. MySQL 라우터 설정화면입니다.


저는 설정하지 않고 넘어갔습니다.



13. 디비 커넥션 테스트 화면입니다.


root계정 패스워드 입력 후 check버튼을 누르면


디비 커넥션 확인이 가능합니다.


확인 후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14. 다시한번 설정 적용화면입니다.


Excute버튼을 클릭 합니다.



15. 설치완료 화면입니다.


설치 완료 후 워크벤치와 Shell을 실행 여부 체크 후 Finish버튼을 클릭합니다.





MySQL Test



워크 벤치에 접속 합니다.



MySQL을 설치하면 기본으로 생성되는 


word스키마의 city를 조회한 결과입니다.






자바스크립트 자료형



자바스크립트는 var, const, let 키워드를 사용하고, 값에 따라서 자료형이 달라집니다.


자바스크립트의 자료형은 아래와 같습니다.


- Boolean   : true, false

- Number    : 64비트 형식의 IEEE 754값으로 정수나 부동소수

              상징적인 값 - 숫자가 아님(NaN), 무한대(Number.MAX_VALUE, Number.MIN_VALUE)

- String    : 문자열

- undefined : 값을 할당하지 않은 변수의 값

- null      : 존재하지 않는 값을 가리키는 값

- Object    : 객체(Collection), 대표적으로 Array와 Date가 있음

  객체이름.변수명 = 값 형태 또는 객체이름['변수명']=값 의 형태로 사용 가능


아래 코드처럼 typeof함수를 제공하기때문에 


typeof함수로 타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var age = 50;
var name = "홍길동";
var testYn = false;

// typeof로 타입을 확인 할 수 있는 typeof함수를 제공
console.log('나이 타입 == ',typeof(age), "이름 타입 == ",typeof(name));
console.log('테스트 여부 == ',jobYn, "테스트 타입 == ",typeof(testYn ));


undefined와 null은 전혀 다른 존재입니다.


값을 할당하지 않았을 때 undefined이 들어있습니다.


일치연산자(===)를 사용하면 값과 타입까지 비교 가능합니다.


var undefinedT;
var nullT = null;

// undefined과 null은 전혀 다른 존재
console.log("undefined == ",undefinedT);
console.log("null == ",nullT);

// 추가로 일치 연산자(===)는 값과 타입까지 비교
// 비교연산자로 값과 타입 비교
if(undefinedT==undefined && typeof(undefinedT)=='undefined'){
console.log("비교연산자 테스트");
}
// 일치연산자로 값과 타입 비교
if(undefinedT===undefined){
console.log("일치연산자 테스트");
}



'언어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replace() method  (0) 2017.11.09

FileZilla Client 설치


이번에는 접속에 필요한 client를 설치해보겠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다운 가능합니다.


https://filezilla-project.org/


client를 선택 하고 다운 받아줍니다.


오른쪽이 무료입니다.



약관동의 창입니다. 


동의를 누르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전체 계정에 설치할지 물어보는 창입니다.


저는 전체 설치를 선택하고 넘어갔습니다.



바탕화면 아이콘 등의 컴포넌트를 선택하는 창입니다.


원하는 옵션을 선택하고 넘어갑니다.



설치 경로를 지정해줍니다.



시작메뉴에 만들 폴더명을 지정하는 창입니다.


저는 기본으로 넘어갔습니다.



설치중간에 광고가 두개 나옵니다.


다음 다음 넘어갑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finish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파일질라 클라이언트 메인화면입니다.


파일탭 - 사이트관리자 또는 파일탭 아래 버튼을 눌러줍니다.



접속할 호스트의 정보를 입력 후 연결을 누르면 접속이 가능합니다.





'Server > F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leZilla Server 외부 접속을 위한 방화벽 설정  (2) 2019.01.23
FileZilla Server 설치  (0) 2019.01.23

FileZilla Server 외부 접속을 위한 방화벽 설정



파일 질라 서버 설치는 아래 게시글을 확인 해주세요


https://parkdream.tistory.com/88



로컬에서 접속 확인은


cmd창을 열어서 ftp localhost 명령을 쳐서 확인 가능합니다.



윈도우 제어판에서 방화벽을 들어가서 FileZilla Server 허용과 정책을 설정 해줘야합니다.


가끔보면 쉬운 접근을 위해서 방화벽을 끄시는 분들이 있는데


정말 권장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번거롭더라도 원하는 프로그램만 허용하고 정책을 추가해서 사용하시길 권장합니다.



위 창에서 앱또는 기능 허용을 눌러줍니다.


설정 변경을 누르고 파일질라 서버를 추가 합니다.



설치한 경로를 들어가서 선택 합니다.



다음은 인바운드 정책 설정입니다.


제어판 방화벽 창에서 고급설정을 눌러줍니다.



아래와 같은 창이뜨는데 인바운드 규칙에서 새 규칙을 눌러줍니다.



저는 규칙 종류를 포트로 선택했습니다.



접속을 허용할 포트를 지정합니다.



별도 보안연결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다음으로 넘어갔습니다.



개인으로 사용하는 사람도 있고, 공유로 사용하는 사람이 있기때문에


모두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갔습니다.



정책에 대한 이름과 설명을 지정해주면 정책설정이 완료됩니다.



추가로, 저는 3시간동안 헤맨 이유가있습니다.


아무리 외부에서 접속을 해도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이 되어있지않아서


접속이 안됐었습니다.


포트포워딩 방법은 공유기에 따라 다르기때문에 별도 포스팅은 하지않았습니다.


감사합니다.




'Server > F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leZilla Client 설치  (0) 2019.01.23
FileZilla Server 설치  (0) 2019.01.23

FileZilla Server 설치


선택 이유 : 무료

구축 이유 : FTP 파일 공유서버 필요

구축 환경 : Windows 10 Desktop


아래 링크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다운 가능합니다.


https://filezilla-project.org/


server를 선택 하고 다운 받아줍니다.



약관동의 창입니다. 


동의를 누르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바탕화면, 시작메뉴에 아이콘을 만드는 등의 컴포넌트를 선택하는 창입니다.


원하는 옵션을 선택하고 넘어갑니다.



설치 경로를 지정해줍니다.



파일 질라가 리슨할 포트를 지정하는 창입니다.


기본 포트는 14147입니다. 


보안을 생각하면 기본포트는 피하는게 좋겠죠?



서버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창입니다.


기본옵션을 선택하고 넘어갔습니다.



위 창에서 인스톨 버튼을 누르면 설치가 진행됩니다.


저는 컴포넌트 옵션에서 소스파일도 선택했더니 소스파일도 설치가 되네요


C로 작성된 것 같습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close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파일질라 서버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창을 볼 수있습니다.


접속을 하거나 파일 생성, 수정 삭제 등 이벤트가 발생하면 로그가 찍힙니다.



사람모양을 선택하면 유저와 공유할 디렉토리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접속에 사용 할 유저를 만들어 줍니다.


add버튼을 눌러서 user를 추가 해줍니다.



유저를 추가하고 그냥 OK 버튼을 누르면 공유 할 폴더를 지정 해 달라고 합니다.


파일질라로 공유할 물리적인 경로를 지정 해 줍니다.



File 탭에있는 Connect to Server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로컬에서 구동을 할 예정이니 host는 loaclhost


port는 지정한 포트 패스워드를 지정 해줍니다.



마지막으로 Edit탭 - settings를 들어옵니다.


요청을 받을 포트를 변경해줍니다.


외부에서 접속하는 환경이라면 기본포트를 사용하는건 좋지않습니다.




관리자 비밀번호도 설정해주고 관리자 접속 포트도 변경해줍니다.



여기까지 설정이 끝났다면 FileZilla Server 설치 및 기본적인 설정은 완료 된것입니다.





'Server > F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leZilla Client 설치  (0) 2019.01.23
FileZilla Server 외부 접속을 위한 방화벽 설정  (2) 2019.01.23

QCY T1 TWS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QCY 블루투스 이어폰을 구매했습니다.

아는분이 추천한 이어폰입니다.

가격도 2만원대로 아주 저렴한 가격대입니다.

중국에서 배송을 시작해서 2018년 12월 24일에 주문해서
2019년 1월 7일에 받았습니다.

박스는 아래 사진처럼 포장 되어있습니다.



구성품은 5핀 케이블, 사용설명서, 이어폰, 이어폰 케이스, 이어폰 캡

이렇게 들어있었습니다.

설명서는 영어와 중국어로만 안내하고 있어서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최대 16시간 감상 가능하다고 합니다.

케이스에 장착한 이어폰 모습입니다.

이어폰을 넣으면 자석이 붙으면서 들어갑니다.



이어폰 케이스에서 뺀 사진입니다.



블루투스 이어폰은 넥 밴드형만 사용 해봤었는데


생각보다 안정감있고 편했습니다.


가격에 비해 음질 또한 괜찮은 것 같습니다.


별점으로 4점정도 주고싶네요!

★ ★ ★ ★ ☆


ABKO Hacker K660 광축 기계식 키보드 


안녕하세요 이번에 새로운 키보드를 구매했습니다.


컴퓨터를 많이 만지는 직업인 만큼 


사용하는 키보드에 대해서도 관심이 가게 되는 것 같습니다.




박스 앞 뒷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박스 디자인은 깔끔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상자 개봉 후 찍은 사진입니다.


 키보드와 키보드 덥개 키캡 리무버 사용설명서가 들어있었습니다.



기본 구성품들을 비닐 지퍼백 같은곳에 담아서 줬다면


좀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케이블 타이가 기본적으로 붙어있어서


상황에 따라 선 관리 하기 용이할 것 같습니다.



K660 키보드는 리니어타입 클릭타입이 있는데요


리니어타입은 적축과 유사하고 클릭타입은 청축과 유사하다고 합니다.


저는 클릭을 구매했습니다.



실제로 키캡을 열어봤더니 청축처럼 파란색 축을 볼 수 있었습니다.




집에서는 한성 GTune MKF30 Rainbow 갈축 키보드


사무실에서는 AKCO Hacker K1000 적축 키보드를 사용하고있는데


두 키보드와 비교했을 때 


키감이 너무 좋아서 앞으로 계속 사용할 것 같습니다.


별점으로 5점 만점 주고싶네요!

★ ★ ★ ★  


robomongo Studio 3T 설치


이번에는 MongoDB tool을 설치 해 봤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 가능합니다.


https://robomongo.org/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Studio 3T와 Robo3T 두 가지가 있습니다.


저는 Studio 3T를 설치 했습니다.


Download Studio 3T를 클릭 후


OS에 맞게 설치 해줍니다.



소개 페이지입니다. 

 

Next를 눌러줍니다.



약관 동의 페이지 입니다. 


동의하고 Next를 눌러줍니다.



5.7.0 이전버전이 설치되어있는 경우


수동으로 제거하라고 하네요


신규 설치이므로 Next를 눌러줬습니다.



요구하는 크기와 설치경로를 지정하는 페이지입니다.


297MB로 생각보다 가벼운 것 같습니다.



Next를 누르면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가 완료 됐습니다.



프로그램을 시작하면 두 가지 모드중에 선택 가능합니다.


저는 왼쪽에있는 모드를 선택했습니다.



초기 메인화면입니다.


Connect 버튼을 눌러서 설치되어있는 몽고디비와 연결해줍니다.



왼쪽 상단에 IntelliShell 버튼을 클릭하면 우측과 같은 창이 나옵니다.


db라고 입력후 Ctrl + Enter 로 실행했습니다.


이상으로 Studio 3T 설치를 마치겠습니다.





'DBMS > Mongo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ngoDB 4.0.4 설치 및 로컬 테스트  (3) 2018.12.10

Ubuntu 18.04 LTS 설치


이번에는 VM웨어에 우분투 18.04 LTS 버전을 설치 해 봤습니다.


올해 4월 LTS버전을 설치 했는데, 우분투는 LTS버전이


안정화 된 버전이고, 5년까지 업데이트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우분투 ISO 파일은 www.ubuntu.com 에서 다운 가능합니다.


Desktop 버전을 선택해서 다운 받았습니다.



VM웨어에서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클릭합니다.



상세 설정을 위해서 Custom을 선택합니다.



현재 사용중인 버전을 확인하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추가 선택 없이 나중에 선택하는 옵션을 고르고 넘어갑니다.



OS버전을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Ubuntu를 선택합니다.



가상머신 이름과 경로를 지정하는 화면입니다.


저는 기본 설정 그대로 넘어갔습니다.



프로세서를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저는 기본 설정으로 넘어갔습니다.



가상머신의 메모리를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2GB로 변경하고 넘어갔습니다.



I/O 컨트롤러 타입을 지정하는 화면입니다.


기본 LSI Logic을 선택하고 넘어갔습니다.



네트워크 방식을 설정하는 화면인데


NAT방식으로 자동으로 네트워크를 잡아주도록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갔습니다.


설정 후에도 추후에 변경은 가능합니다.



Disk 방식을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기본 SCSI 방식을 선택하고 넘어갔습니다.



새로운 가상 디스크를 선택하고 넘어갑니다.



다운 받은 ISO파일이 하나의 파일이므로 


single file을 선택하고 넘어갑니다.



기본으로 설정하고 넘어갑니다.



마지막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이상이 없으면 Finish를 눌러줍니다.



다음으로 설치 전 ISO파일을 넣어줍니다.


생성된 가상머신을 우클릭 후 settings를 클릭합니다.





CD/DVD 메뉴를 선택하고


USE ISO Image file을 선택 후 다운받아 놓은 ISO파일을 넣어줍니다.



Run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서


설치가 진행됩니다.



언어를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한국어는 가장 아래에서 4번째에 있었습니다.


언어 선택 후 Ubuntu 설치 버튼을 눌러줍니다.



키보드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자동으로 한국어 키보드가 선택 되었습니다.


키보드 레이아웃 선택후 계속하기를 눌러줍니다.



설치 옵션입니다.


기본으로 선택되어있는 일반 설치를 진행 했습니다.


최소 설치를 원하시는 분들은 최소설치를 진행해도 무방합니다.



설치 형식을 지정하는 화면입니다.


기존 설치 된 OS가 없으므로


기본 옵션을 선택하고 설치를 진행합니다.



지역을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인터넷 접속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됩니다.


서울을 선택하고 넘어갔습니다.



기본 계정을 입력하는 화면입니다.


이름이 계정이름이 되므로 


사용하실 계정이름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서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가 진행되고나면 재부팅 메시지가 나옵니다.


재부팅하고나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위에서 만들었던 계정으로 로그인 해주면 



정상적으로 설치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우분투 설치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erv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설치  (0) 2018.11.24
리눅스 기본개념  (0) 2016.12.13

오사카 여행 4일차


클럽 패스를 구매하고


딱 두곳밖에 못가봐서 아쉬움이 남습니다.


G3라는 클럽을 방문했는데



비가와서 인지.. 


일요일이여서 인지..


사람이 너무 없었습니다.


기다리는 동안 귀여운 문어를 찍었습니다.


오사카는 아기자기하게 꾸며놓은게 많았던 것 같습니다.



아침겸 점심은 소고기 덮밥



일본은 이렇게 자판기 처럼 


주문하는 방식이 유행인 것 같았습니다.



웬만한 식사는 맥주가 어울렸던 것 같습니다.




한국에서는 매일 두세잔 커피를 마셨는데


일본에서는 커피를 안마셔서 


지나가다 개인 카페에 들렀습니다.



가격과 맛은 한국과 비슷했습니다.


아기자기한 인테리어가 기억에 남습니다.




지나가는길에 우체국 사진을 찍었는데


뭔가 대기시간이 긴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일본 다이소.. 


디자인이 좀 다른 느낌이였습니다.


들어가보고 싶었지만, 입구만 보고 지나갔습니다.



돈키호테... 


구매 부탁받았던 약들을 사러 갔었는데


사람이 너무...... 많아서 


약만 얼른 사고 나왔습니다.



오므라이스를 먹으려고 했으나


하필 월요일에 휴무여서 바로 옆에있던


코코이치방에서 카레를 먹었습니다.



한국에서 먹었던 것보다 좀 더 맛있었는데


기분탓 이었겠죠..?


한국어로도 잘 써있어서 주문하기 편했습니다.




마지막 날에는


쇼핑도하고 귀국하는 날이라


정신없었습니다.




3박 4일간 오사카.. 해외여행 이였는데


나름 구경도 많이하고 


맛있는 음식도 많이 먹고 


즐거운 여행이였습니다 !








'ETC >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라디보스톡 3박4일 - 관광지  (0) 2019.11.28
블라디보스톡 3박4일 - 여행준비 & 후기  (0) 2019.11.26
오사카 여행 3일차  (1) 2018.12.23
오사카 여행 2일차  (0) 2018.12.19
오사카 여행 1일차  (1) 2018.12.18

+ Recent posts